4강 두 스크린을 한개의 스크린으로 사용하기(Python Algorithm 4 HDMI Cable)
부제 : 알고리즘을 배우면서 파이썬 기초부터 RPG까지 정복
내용 : 초중고 또는 코딩 기초 입문자를 위한 누구나 따라 배울 수 있는 Python Algorithm 프로그램 기초 강의
파이썬을 통해 알고리즘도 배우고 기초 프로그램 문법도 배우고 수학도 배우면서 기초 코딩 교육을 배웁시다. 초보자도 아주 쉽게 배울 수 있도록 최대한 쉽게 설명을 할 것이며 따라하다 보면 어느덧 기초 과정을 마스터하면서 나중에 TRPG(Table-talk Role Playing Game 이라고 하는데 저는 그냥 Text Role Playing Game 즉 문자 타이핑으로 하는 역할 수행 게임 이라고 부르겠습니다.)를 구현하는 과정까지 해 보겠습니다. 교재 및 강의 자료는 네이퍼 카페 백년지계 에 파이썬 에서 닭치고 알고리즘 부분에도 있습니다. 이 시대의 패러다임 코딩 교육을 쉽게 접근하여 친밀한 생활의 코딩으로 배워 나갑시다. 함께 닭치고 아두이노도 같이 하시면 좋습니다.
구독 좋아요 댓글 많이 많이 해주세요.
[동영상강의]
4. 두 스크린을 한개의 스크린으로 사용하기
노트북의 크기가 작아서 강의를 볼 때 불편할 수 있으므로 TV나 다른 모니터에 연결해서 마치 하나의 모니터처럼 사용하시면 매우 편합니다.
HDMI로 TV와 노트북 연결
노트북으로 코딩을 하시다보면 화면이 작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저 같은 경우는 티비와 연결해서 사용합니다.
노트북을 사용하신 다면 HDMI 케이블을 사서 커다란 티비에 연결해서 그 티비에 pdf 강의 자료를 띄워서 보면서 공부를 하시면 더 효과적일 것입니다.
TV와의 거리를 생각해서 2m 정도 길이의 HDMI 케이블을 샀습니다.
양쪽 모두 아래의 사진 같은 모양이어야 합니다.
모니터나 TV에 아래와 같은 홈이 있어야 겠죠.
노트북에도 물론 있어야 합니다.
HDMI 케이블로 노트북과 TV 를 연결합니다.
TV이면 리모컨에 외부입력이 있을 겁니다. HDMI 부분이 여러개 있을 경우 1, 2, 3 이렇게 지정해서 사용합니다.
꽂은 부분을 찾아서 HDMI1 이렇게 선택하시면 됩니다.
화면분할이라는 표현보다는 두개의 모니터를 한개로 사용한다라는 표현이 더 맞을 지 모르겠습니다.
윈도우즈 화면에서 우측 마우스 클릭을 하세요.
그래픽 속성을 클릭합니다.
그래픽이 전 인텔이라 아래와 같이 화면이 나옵니다.
디스플레이를 선택하세요.
다중 디스플레이를 선택하시면 디스플레이 모드 선택에서 확장 데스크탑, 주 디스플레이에서 내장 디스플레이
를 선택하고 2번은 디지털 TV HKC TV 를 선택하면 됩니다. (저의 경우입니다.)
우측의 디스플레이 식별 을 눌러 저처럼 1 번 2번 모니터가 나타나면 정상적으로 연결된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적용을 누르세요.
다시 윈도우즈 바탕 화면에 우측 마우스 클릭을 해서 그래픽 옵션으로 들어가면
출력대상 > 확장 데스크탑 > 내장 디스플레이 + 디지털 TV
이렇게 되어 있을 겁니다. (저 경우입니다. 여러분은 다를 수 있습니다. )
노트북의 유튜브 부분을 TV로 옮겨서 보고 있습니다.
마우스로 끌어다 TV로 주욱 옮기면 됩니다.
정말 편할 겁니다.
'Python > 닭치고 Algorithm' 카테고리의 다른 글
6강 재귀호출 팩토리얼2(Python Algorithm 6 Factorial2) (0) | 2020.03.01 |
---|---|
5강 재귀호출 팩토리얼(Python Algorithm 5 Factorial) (0) | 2020.03.01 |
3강 Python 실행(Python Algorithm 3 Python EXE) (0) | 2020.03.01 |
2강 Python 설치(Python Algorithm 2 Python Setup) (2) | 2020.02.14 |
1강 기초 및 첫코딩 sum(Python Algorithm 1 sum) (2) | 2020.02.14 |
댓글